수익률수렴론

수익률 수렴론의 해석, 제 4편

주식장학생 대표이사 2012. 4. 21. 06:00

 

 

 

 

 

 

 

 

 

 

 

 

 

 

 

 

 

"장기적인 관점에서 모든 투자수단의 시장 평균 수익률은 하나로 수렴한다."

 

                                                                                        - 대표이사 -

 

단 한줄로 설명이 되는 투자론을 길게 풀어서 설명 하자니 그것도 참 어렵습니다.

 

질문이 있으신 분들은 꼬릿말에 비밀댓글 기능이 있으므로 질문을 해주시면 가급적 일주일 내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을 많이 해주셔야 여러분들이 어떤 부분이 이해가 안되는지를 알아서 여러분의 눈높이에 맞게 강의를 해드릴수 있는 것입니다.

 

수익률 수렴론에 근거할 때, 저평가된 우량주에만 투자하면 누구든지 경이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말씀 드렸는데, 그렇다면 과연 수익률 수렴론에서 말하는 저평가된 우량주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챠트는1998년부터 2007년까지 10년간의 주가챠트인데 주가지수가 10년간 500% 이상 수익이 나고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기간 기아차의 챠트를 보니 수익률이 거의 원점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수익률 수렴론의 해석 - 제4장

 

시장평균 수익률보다 현저하게 수익률이 낮은 종목이 저평가 종목인 것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률이 수렴한다 했는데 정말로 그러한지 그이후의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챠트를 보니 주가지수가 지난 4년여간 거의 원점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아차의 4년간의 수익률을 보니 거의 700% 정도 입니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시장평균 수익률과 큰 괴리율을 보이던 기아차의 주가가 어느 시점부터 수익률을 올리더니 결국 시장평균 수익률과 수렴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수익률 수렴론에서 말하는 저평가의 의미는 철저하게 시장평균 수익률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시장평균 수익률과 비교되지 않은 가치평가는 수익률 수렴론에선 무의미한 것입니다.

 

오늘은 "저평가된 우량주"라는 용어 중에서 과연 저평가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다음 시간에는 "저평가된 우량주"라는 용어에서 과연 우량주란 무엇인지 수익률 수렴론을 토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