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평가론

그림 한장에 1,000조원?

주식장학생 대표이사 2012. 5. 3. 06:00

 

 

 

 

 

 

 

 

 

 

 

 

 

 

 

 

 

"상투는 시장이 평가한 적정 가치이다."

 

                                     - 대표이사 -

 

 

경매의 예를 통해서 상투가 시장이 평가한 적정 가치임을 설명 드린바 있습니다.

 

경매장에서 누군가가 어떤 그림을 20억에 샀다면, 그사람은 결코 20억 이하에는 그림을 팔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그림의 최저 적정 가치는 그순간부터 20억이 된다고 말씀을 드렸죠?

 

그림 이야기가 나왔으니 세상에서 아주 비싼 그림을 한번 감상해 볼까요?

 

 

 

위의 그림이 얼마짜리 그림 입니까?

네......자그만치 1,000조원짜리 그림인 것입니다.

 

현재 한국 주식시장의 규모가 1,000조원정도 되죠?

 

만약 한국의 주가지수가 4,000포인트까지 오르면 얼마짜리 그림 입니까?

네..... 2,000조원 짜리 그림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림 한장에 2,000조원이나 주고 살 사람이 흔하진 않겠죠? 그래서 새로운 상투를 만드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상투가 정말로 시장이 평가한 적정가치인지,주가 수익률을 경제 성장률과 비교해 볼까요?

 

 

 

1989년에 1,000포인트에 상투를 찍었습니다.그때부터 년간평균 경제 성장률을 5%로 가정해서 경제 성장률과 주가수익률을 비교해 보니 주가지수가 2,000포인트에 새로운 상투를 만드는 시점과 경제 성장률과 거의 일치 하네요?

 

거참 신기한 일 입니다.

 

1989년 당시에 1,000포인트는 엄청나게 높은 가격처럼 느껴 졌는데,돌이켜보니 시장이 적정가치를 아주 정확하게 평가 했죠?

 

위의 그림은 과연 얼마 정도의 가치가 있는 그림 일까요?

네...... 최소한 100억 이상의 가치가 있는 그림인 것입니다.^^

 

100억을 주고도 들을수 없는 강의를 여러분이 지금 이자리에서 듣고 있는 것입니다.

 

대표이사의 수익률수렴론과 시장평가론의 우수성은 적용하는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진다는 점 입니다. 대표이사와 여러분이 모두 함께 부유해질 수 있는 투자론, 그것이 바로 수익률 수렴론과 시장 평가론인 것입니다.

 

물론,많은 사람이 수익률 수렴론과 시장평가론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무관 합니다. 그때는 그냥... 우리끼리만 부유해지면 되는 것입니다.^^